무역협회가 선정한 올해 한국 수출을 빛낸 10대 품목
주얼리·전산기록매체·압연기·변압기·반도체·하이브리드차·김·면류·접속기·전선
3억 달러 이상 고성장 품목... 해외수요 확대·경쟁력 강화
![]()
한국무역협회가 올해 한국 수출을 빛낸 10대 품목으로 주얼리, 전산기록매체, 압연기, 변압기, 집적회로반도체, 하이브리드차, 김, 면류, 접속기 및 차단기, 전선을 꼽았다.
해외 수요 증가, 한류 확산, 글로벌 경쟁력 강화, 브랜드 파워 등이 배경으로 꼽혔다.
무역협회는 최근 제61회 무역의 날 기념 ‘무역의 지평 확대, 세계로 나아가는 대한민국’ 보고서를 내고 3억 달러 이상 수출 실적을 낸 품목 중 한국 수출은 빛낸 10대 품목을 선정했다.
보고서는 또 올해 대한민국 수출이 2021년 이후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첨단제품의 수출 약진을 통한 무역의 질적 개선, 수출 세계 6위 달성 등 무역강국 입지 강화의 특징을 보였다고 분석했다.
●한국 수출을 빛낸 10대 품목 = 보고서는 수출 3억 달러 이상, 무역흑자 품목 중 성장세가 강한 품목을 중심으로 10대 품목을 선정했다.
먼저 주얼리는 올 1~10월 중(이하 같은 기간) 12억6200만 달러의 수출 실적으로 전년보다 무려 160%나 늘어나 10대 품목에 꼽혔다.
주요 수출대상국은 홍콩(1130% 증가), 미국(68% 증가)이다. 글로벌 시장 성장과 우수한 세공기술이 수출 호조 요인으로 분석됐다.
전산기록매체는 이 기간 83억1700만 달러(88.5% 증가)의 실적을 냈는데 주요 시장은 미국(216% 증가)과 홍콩(128% 증가)이었다. AI 서버용 고성능 SSD의 수요 확대 및 가격 회복 덕을 봤다.
압연기는 4억300만 달러어치가 수출됐는데 증가율이 56%였다. 미국(173% 증가)과 캐나다(11954% 증가)로의 수출이 급증했으며 미국의 IRA와 CHIPS 시행 후 북미 현지 공장 증설에 따른 수요 확대가 배경으로 작용했다.
변압기는 13억3100만 달러, 증가율 54%로 선정이 됐는데 북미 전력망 교체 및 데이터센터 확충 수요와 유럽 내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위한 변전소 증설 덕을 봤다. 미국(85% 증가)과 영국(135% 증가)으로의 수출이 크게 늘었다.
집적회로 반도체는 무려 1102억4500만 달러어치(48% 증가)의 수출로, 하이브리드자동차는 93억3000만 달러어치(48% 증가)의 수출로 각각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10대 품목에 선정됐다.
식품인 김과 면류는 각각 3억6300만 달러(40% 증가), 12억2400만 달러(25% 증가)로 10대 품목에 꼽혔는데, 김은 일본의 생산량 감소에 따른 가격상승 덕을 봤고 면류는 80% 이상을 차지하는 라면이 한류 확산으로 해외에서 인기를 끈 것이 배경으로 작용했다.
접속기 및 차단기와 전선은 각각 12억5100만 달러(24% 증가), 21억2000만 달러(23% 증가)를 기록했다.
접속기 및 차단기는 사우디 도시개발에 따른 전력인프라 확충과 베트남 및 북미 수요 확대, 전선은 베트남의 전력인프라 확대와 네덜란드 신재생에너지용 변전소 증설 덕을 봤다.
[2024년 한국무역을 빛낸 10대 수출품목]
품목 | 수출액(백만달러) | 증가율(%) |
주얼리 | 1,262 | 159.6 |
전산기록매체 | 8,317 | 88.5 |
압연기 | 403 | 56.2 |
변압기 | 1,831 | 54.0 |
집적회로반도체 | 110,245 | 47.8 |
하이브리드차 | 9,330 | 47.5 |
김 | 363 | 39.5 |
면류 | 1,224 | 25.4 |
접속기및차단기 | 1,251 | 24.4 |
전선 | 2,120 | 23.2 |
자료 : 한국무역협회(1~10월 기준 증가율 순)
●무역강국 입지 강화 = 올해는 대한민국의 전 세계 수출순위가 작년보다 2단계 상승한 6위에 올랐다.
중계무역국이 네덜란드(4위)를 제외하면 사실상 세계 5위라고 보고서는 전했다. 이탈리아와 프랑스를 제쳤다.
일본과의 격차는 2023년 850억 달러에서 올해(1~9월 기준) 118억 달러로 좁혀졌다.
또 대한민국은 1~9월 기준 상위 10대 수출국가 중 중계무역국인 홍콩(11.0%)을 제외하고 가장 높은 수출증가율(9.5%)을 기록했다. 중국은 2.8%, 미국은 2.7%, 독일은 -0.5%, 네덜란드는 -1.1%, 일본은 -1.9%를 기록했다.
올 2분기 기준 대한민국의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은 2.83%로 전년 동기 대비 0.20%p 상승해 수출 강국으로서 위상을 강화했다.
주요국 수입시장에서 한국제품의 점유율이 높아졌는데, 중국(0.5%p), 캐나다(0.5%p), 미국(0.4%p)이 대표적이다.
이밖에 중국과 미국 중심의 수출 구조는 여전하지만 아세안(5.2% 증가), 남미공동시장(18.4% 증가) 등으로의 다변화도 진전이 이뤄졌다.
아세안 시장에서는 캄보디아, 필리핀, 베트남, 말레이시아로의 수출이 늘었고 남미공동시장에서는 아르헨티나를 제외한 대부분 국가로의 수출이 증가했다.
출처: 한국무역신문







